Activity


United Nation x Artivive


평화 포스터 공모전 당선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공간환경디자인랩의 김재흠, 정다은 학생의 작품이 UN 대표, 민간 부문, 예술가로 구성된 국제 배심원단이 선정한 최우수 포스터에 선정되었다.

United Nation과 Artivive가 공동 개최한 평화 포스터 공모전에는 전 세계에서 300여 개의 작품이 출품되었다. 놀라운 점은 국제 배심원단이 최종 선정한 10개의 최우수작 가운데 2점이 공간・환경디자인랩 학생들의 작품이었다는 것이다.

해당 내용은 아래 공모전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공모전 홈페이지

#project






 김재흠 학생 작품

Title: …AND YOU
by Jae Heum Kim
Country: South Korea
Description by the artist:
Peace will always be with you. And it provides a sense of space to feel it metaphorically.






정다은 학생 작품

Title: NOBODY CAN BUY THE FREEDOM
by Da-Eun Jeong
Country: South Korea
Description by the artist:
Nature is peaceful, but man confines himself and places restrictions on peace.






Be less , Be nature


2022 환경디자인스튜디오1








[ Be less , Be nature]
존재가 없어질 때.

                                                                 만약,

               [A]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존재했을 [B]
                                           
                                                             그리고

           [B] 존재가 없어질 때 [A]가 그리워할 [B]

if,  먼 미래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빈자리는 자연이 생성되고, 생성된 자연을 통해 현재의 도심 속  소실 된 자연을 깨닫고 추억되며 그리워할 수 있는 능동적으로 작품을 체험 할 수 있는 체험 전시 공간을 제안한다.



collaboration ;  Atta Kim 의 작품을 사진의 평면이 아닌 삼차원적 공간으로 제현하고자 한다.



김재찬 학생 작품

#project






ABSOLUT_ LESS


2022 환경디자인스튜디오1







ABSOLUT : '투명함''단순함''완벽함'
Brand Identity를 통해 평범함이 특별함으로 거듭난다.

Space Strategy- 앱솔루트 병을 없애고 오직 앱솔루트 브랜드 체험을 위한 공간을 조성해 다양한 체험공간을 통해 앱솔루트의 브랜드 정체성을 느낄 수 있다.

Space Slogan- "ABSOLUT_avika."
지루한 일상을 어긋나게! 앱솔루트 팝업스토어

브랜드를 모르는, 파티를 좋아하는, 휴식을 원하는
19세 이상 성인 남녀를 모두를 위해


김현우 학생 작품

#project






"FORM LESS"


2022 환경디자인스튜디오1




한장의 책갈피 속에서,  삶을 향유하다.
'살아있는'  공간의 속에서 습도의 정도에
따라 계속해서  '반응'하여 변화하는 공간

DRY
건조해지는 순간,
서서히 쪼그라들며 갈라지다.

MOIST
습해지는 순간,
서서히 부풀어 오르며 팽창되다
"  물가에서  보는  책의 공간 "

전자책_ebook
하나의 문장 속에서도 다양한 상상을 할 수 있는,  시집
하나ㅣ의 그림 속에서도 다양한 상상을 할 수 있는,  사진책

Sponge_해면

구멍이 숭숭 뚫린 항아리이며
자신에 몸의 2만배 이상의 물을 여과 할 수 있는 해면

날씨에 따라 해면은 불풀기도 줄어들는 공간 되어
우리의 다양한  상상을 할 수 있는 독서공간을 만들어 주고자 한다.


김도연 학생 작품

#project






LIMITLESS


2022 환경디자인스튜디오1



비일상적 편린, limit less

한계가 없는,
자연법칙도 물리법칙도 적용되지 않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Floating spring

부유하는 샘

쉼을 위한 공간: 목욕탕, 수영장
진정한 쉼이란 : 나를 온전히 놓고 엄마 뱃속을 부유하듯 안락하고
무념한 상태, 태초로 돌아가는 것,


나체의 상태로 물속을 부유하며 엄마 뱃속에 있었을 때의 어렴풋하고 따듯한
기억을 담고 싶습니다.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으면서 모든 것이 존재 했던 곳,
진정한 자유를 느낄 수 있었던 곳, 또 남녀 혼탕으로 나체의 상태이지만
성적 욕망 없이 모두가 태초의 상태를 경험 할 수 있는 부유하는 샘 ‘imit less'


문정은 학생 작품

#project






"..... LESS"


2022 환경디자인스튜디오1




현대 사회의 연결고리를 끊고 아무것도 없는
텅빈  공간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뇌를 비우는 최소한의 시간 여백

'여백의공간' - '본질에 집중'
-   사유와 명상의 공간
-  공간 안과 밖의 물성에 집중
-  공간에서의 잡념을 지워 이념을 읽게 하는 디자인
-  여백을 통해 요소들이 숨 쉴 수 있는 여지 마련


건축적 표현의 LESS
여백의 공간 = '네거티브 스페이스'
인지도와 전달성을 높이기 위해서 뿐 아니라 미학적의 여백
여백을 통해 요소들이 숨 쉴 수 있는 여지 공간으,ㅣ 안과 밖의 물성에 집중

공간의 목정성 표헌의 LESS
치유 - 휴식 - 손을 떼는 것 - 사고의 중지
기울어진 공간을 통해 개방과 여행의 공간
어떠한 이들에게 이 공간을 전달할 것 인가.

'가만히 못 있는' ,    '쉬지 못하는'(Restless)

몸은 쉬어도 생각은 쉬지 못하는 이들에게


손주찬 학생 작품

#project






365 , 36.5℃


2022 공간디자인스튜디오3


자기 계발과 자아 성장을 꾀하는 라이프스타일이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자율성이 강조되는 경향이 강해지는 현대지만,
교육이 이루어지는 학교는 반 세기가 넘는 동안 타율적 공간으로써 한결같다.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물론, 학생들에게도 OO실로 이름 붙여지지 않는, 마치 집의 거실과 같은 공유되는 공간이 필요하다. 학습공간과 더불어 자율적인 그들만의 공간이 만들어져야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마주한 문제에 잠식되어 학교를 방치하는 것이 아닌,
고정적인 모습에서 벗어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여 다시 숨쉬는 미래의 학교를 고민해야 한다.


이석훈 학생 작품

#project






[도서관: 사월]


2022 공간디자인스튜디오3




학교도서관은 학교의 심장이다.
늘 잠겨 있던 출입문, 먼지가 두껍게 내려앉은 장서. '속빈 강정'이라 불리는 과거 우리들의 학교도서관을 탈바꿈해야한다.

Concept: Aprilwetter_변덕스러운 사월의 날씨를 뜻하는 독일어로,

예측하기 어려운 4월의 날씨를 일컫는다. 이와 같이 탈바꿈되는 도서관은 초등학생이 자유롭고 하고싶은대로 책을 읽고, 접하고, 즐기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빛과 계절, 숨바꼭질과 같은 키워드를 접목시켜 초등학생들만이 도서관과 흥미로운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창조해낸 공간이다.


최효원 학생 작품

#project






NO WHERE NOW HERE


2021 환경디자인스튜디오2








보이지 않는, 없는 것 같은
하지만 지금 바로 여기있는

물에 비춰지는 형상 처럼 아름답지만 잡히지 않는 것들 손가락사이로 빠져나가는 물처럼 흐르는 것, 물결속에 흔들리는 형상속에 내 모습이 언듯언듯 비춰진다. 무의식속에 있던, 여전히 나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켜켜히 싸여지고 얼켜진 축적된 기억들과 만나는  곳


이효주 학생 작품

#project






CHECK - IN /책ːin/


2021 환경디자인스튜디오2



'어디에도 없음이자, 지금 여기'

'모순에서 오는 진리'

대형서점의 부도와 출판 불황에 출계가 크게 술렁이고 있는 요즘
온라인에서는 수 많은 영상 콘텐츠들에 의해 글에 대한 소비가 줄어 쓰여질 글,
읽을 글이 설 수 있는 공간도 줄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이 발전을 거듭하더라도 그 자체로 가치있고 쓰는 작가와 읽는 독자를 만나게 해주는 글이 가진 잠재력은 무시할 수 없다.

'나의 글'을 '세상'과 만나게 하고,
'세상의 글'을 '나'와 만나게 하는


가히 책을 읽고 쓰고 만들기에 완벽한 공간.


이석훈 학생 작품

#project






1ST,


2021 환경디자인스튜디오2







공간과 예술, 그 너머
차이의 생각이 실험적 공간이 되고 실험적 공간이 새로운 예술이 된다

'어디에도 없음이자, 지금 여기 어디에도 없는'

공통성과 동일성이 허용되지 않는 다수성, 불협화음의 역설적 시간성으로서 공간

어디에도 없는, 지금여기,여기에만 존재하고 그 어디에도 없는 것은 지구다.
우리는 지구가 있어서 지구에 사는게 너무나도 당연하다 지구가 있어서 다른 곳에서 살아가는게 당연하지 않다.
지구가 없으면 우린 지구 외인 다른 터전은 개척해야 할지도 모른다.
현대는 우주 여행까지 가능한 시대가 됐다. 그전에 우린 우주와 더욱 가까워져야한다.

지구와 관련된 무엇을, 앞으로 먼 미래에 살아가는 사람들은 이제 무엇에 대한 정보를 알아가고 인식을 해야한다.

객관적인 관점에서 바로보는
우주를 선사하는 우주가 느껴지는공간
판매공간을 기점으로 즐거움을 선사하는 체험공간이 결합된다.


최효원 학생 작품

#project






공간 시옷


2021 환경디자인스튜디오2







시간과 사랑, 삶과 쉼
시와 사람, 그리고 슬픔

하울의 움직이는 성

성은 고철 덩어리들이 뒤엉켜져서 만들어져 있으며 금방이라도 무너질듯이 힘겹게 걸어다닌다. 결국은 찾아온 위기에 무너져내리게 되고, 우기리를 겪은 후 다시 만들어진 성은 전보다 생기있어지고 억압에서 해방되어 날아다닌다. 안전하게 머무르기 위해 이동해야만 했던 도피처에서 치유의 공간, 일상의 공간으로 변하게 된다.

Metaverse 정해진 타켓없이 누구나 찾아올 수 있도록, 사이트를 정하지 않고 메타버스 공간을 이용한다.

공간 시옷은 휴식 도피 힐링
머무리기 위해 이동한다.

지친 상태로 오게된 이곳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관심,호기심,휴식, 완화
5단계로 변화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정지원 학생 작품

#project





Art Planet


환경디자인스튜디오


"사람의 다양한 행위는 공간에 의미를 더한다."

'무엇'이 이들을 이어주고 공간에 생명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까?
일상화된 삶 속 에서 문화의 스낵화를 통해 일상을 탈피하여 비일상적인 행위의 지점이 존재한다. 즉, 노마드의 실체화로써의 책을 통해 서 로 연결되고 새로운 문화가치를 공유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장소를 기획한다.

방치되고 지나가는 공간이 머물다가고 싶은 곳이 될 수 있을까?
현대인(Stranger)은 어떤 가치(정신, 이성)를 중심으로 살아가는 것보다 몸의 욕망으로 살아가는 시대이다. 이로 인해 정신 또한 풍요로울 수 있다. ‘~로서’ 사는 삶은 가치를 당연히 갖게 되며 삶을 바라보는 틀 또한 생기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제 이러한 가치들로부터 자유로워야 될 필요가 있으며 순간과 찰나에 집중해야 된다.

그러므로 또 다른 자아의 일종의 놀이공간을 제안한다.


이승나 학생 작품

#project





Faceless Park


_originally located on 동대문훈련원공원


환경디자인스튜디오


콘크리트, 메탈, 유리는 우리의 삶을 회색도시, 회색서울로 느끼게 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있다. Faceless Park는 위 기존의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물성을 비틀어 일상이 비일상이 되는 경험을 준다.

Faceless Park는 단어 뜻 그대로 얼굴없는 공원이다.
우리가 당연시하는 자신의 얼굴, 모습,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일탈의 경험을 느끼는 곳이다.
동대문 훈련원공원은 과거에 훈련원 기관이 있던 역사를 이어받은 곳으로 오래된 스케이트보드장을 포함하고 있다.
무릎이 깨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끝없이 도전하는 스케이터의 정신과 신체와 정신을 단련하는 훈련원 기관의 정신 또한 의미적으로 일맥 상통하고 있고, 무료한 일상에서 다이나믹한 스케이터의 운동을 관람하고 참여할때의 비일상적 경험이 Facelesspark와 의미적으로 잘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훈련원 공원에 위치한 Faceless Park는 역사를 관통하며 새로운 삶을 제시하는 환경디자인이며, 장소이다.


유양욱 학생 작품

#project





Shadowless Piece


_그림자로부터의 탈출


환경디자인스튜디오


음영(Shadow)은 빛의 경로 상에 불투명한 물체가 있을때 빛의 직진성 때문에 물체에 빛이 통과하지 못하여 생기는 어두운 부분을 말한다.

만질수 없고 실체가 없는 비물질인 그림자는 빛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존재하고 빛이 차단된 공간에는 그림자가 공간 전체를 드리운다.

그림자로부터 우리는 벗어날 수 있을까?

Shadwless Piece는 그림자를 Less하기 위한 첫번째 시도이다.


차호현 학생 작품

#project





공간디자인스튜디오


온라인 세상만이 사람에게 필요한 공간이 아니다.

사람을 사람답게 하고 감정을 이끌어내고 소통하는 것에 있어서 '공간'은 필수적이다.

이때 말하는 '공간'이란 손과 발이 닿은 '실재'하는 공간을 뜻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빛의 변화를 그림에 표현했던 모네처럼 빛의 변화로 움직임을 지각하여 사람을 경험하게 하는 공간을 제안한다.
빛의 특성을 통한 경험으로 실재하는 공간에 이끌린 사람들은 이곳에서 공간과 사람을 만나 소통하고 결과적으로, 공간은 지속된다.


이석훈 학생 작품

#project





유욕탕


공간디자인스튜디오


프로젝트 이름은 유욕탕이다.

개인 그리고 친구와 함께하는 공간, 답답한 현실에서 즐거운 일탈인 놀이 목욕탕을 제안하고자 한다.

컨셉은 ‘키덜트 놀이탕’이다. 키덜트를 상상이 만든 공간으로 유혹한다. 상상은 데페이즈망을 통해 놀이로 실현시켰다. 데페이즈망은 일상적 의미에서 사물의 본래의 의미를 상실하고 전혀 다른 의미와 느낌으로 환기되도록 하며, 공간에서는 현실의 경계를 없애고 초현실적인 거대한 제 3의 공간을 새롭게 구현한다.

제 3의 공간은 우리가 상상한 모든 것이 가능하다.
낯선, 상상, 환기, 반전, 상실을 5가지의 키워드를 도출해 스터디로 풀었으며, 제 3의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거울이라는 요소와 다양한 컬러를 사용하였다.

낯선 공간 안에서의 상상은 반전이 일어나기도 상실이 일어나기도 하며 다시 환기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목욕탕이라는 공간특성을 통해 이 안에서 물놀이를 할 수도 취미활동을 하기도하며 하얗게 서린 수증기는 공간을 더욱 모호하고 비밀스럽게 만들어 환상적인 공간으로 우리를 유혹한다.


정다은 학생 작품

#project





공간디자인스튜디오


This design practice is to carry out a brand new design for the ancient clock museum, and present the complete history of the ancient clock to the audience in a true and objective manner.

The design focuses on strengthening the trinity of internal display, architectural space and external environment. Use new technology to create a pleasant interactive experience for the audience. Emphasize the soul shock and resonance of artistic creation.


수정 학생 작품

#project





Life With Pandemic


공간디자인스튜디오


'Life with pandemic'을 주제로 하여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추출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또한 관련 서적과 논문을 통해 코로나로 인한 사회의 흐름과 심리적 변화를 분석하였고, 그를 통해 우울증 증가와 문화 활동의 한계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팬더믹 환경에서 문화 활동이 가능한 공간을 중심으로 설계하였고, Corona, Cummunicate, Connect, Convert, Concert, Cube를 키워드로 "project"를 진행하였다.

박스를 쌓아 레벨과 개별 공간을 부여하되 관객사이, 관객과 공연자 사이의 소리와 온도를 공유할 수 있다. 큐브 자체적으로도, 야외와 실내사이에서도 가변성이 부여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공간이 유연하게 구성된다.


남예진 학생 작품

#project





Life With Pandemic


공간디자인스튜디오


본 프로젝트는 코로나19 이후 언택트 생활이 보편화되면서 변화를 이루고 있는 발코니의 존재방식을 전이공간의 한 유형으로 바라보았으며, 이를 사람들에게 물리적인 연결뿐만이 아닌 비물질적 소통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형태로 변용하고자 하였다.

프로젝트의 콘셉트는 ‘Go inside and Face outside’로 흐려진 내외부의 경계 속에서 존재하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담았으며, 여기서의 경계는 전이공간의 기능적인 측면을 더불어 인간의 정신적 측면에서의 경계를 의미한다.

문제 해결의 방안으로는 스마트 유리의 물성과 문의 기능성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필요에 따라 공간에서의 물질적 경계와 비물질적 경계를 조절해 소통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권민영 학생 작품

#project





Ant House : Multiplicity of Contemporary Space


공간디자인스튜디오


이분법적 경계가 허물어진 'Ant House'는 개미굴을 형상화한다.

강한 사회성으로 집단 서식하는 개미들은 미로와 같은 보금자리를 건설하고 하나의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어 관계를 형성한다.

거대한 개미굴의 재현은 관람객에게 긴밀한 생태 환경에 연결된 개미 자체가 낯선 경험을 선사한다.


차호현 학생 작품

#project





Thesis


학기별 졸업자 및 논문명


2021-1


김관현
언캐니 개념의 공간적 표현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canny Concept


이승나
노마디즘 관점의 장소 상실과 생성을 통한 장소되기 연구
A Study on the Place-Becoming through the Loss and Creation of Places from the Nomadism


2020-2


임주영
업사이클링 공간에 나타나는 뉴트로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ew-tro in Upcycling Space


전주원
공간마케팅을 통한 커피전문점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pace Design Characteristcs Of Coffee Shops Through Space Marketing


피타와트
피지털 리테일 스토어의 체험 공간 특성 연구–플래그십 스토어 사례를 중점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Space in the Phygital Retail Store - Focused on Flagship Store Cases


원예진
'고유한 신체'의 경험을 통한 애도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urning Space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Body Proper’


이상희
질 들뢰즈 감각론을 통해 바라본 체험전시공간의 의미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Meaning of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 through Gilles Deleuze Sensory Theory


2020-1


김태형
디지털 네이티브의 특성을 반영한 체험형 공간의 집객 확산경로 연구
A Study on the Visiting Spread Path of Interactive Space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Digital Native


2019-2


조예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 for One-person household According to Lifestyles


최진경
시뮬라크르를 반영한 뉴미디어아트 전시공간의 감각적 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ensory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rt Exhibition Space Reflecting Simulacre


2019-1


김민철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반영한 사회참여건축 특성 연구 - 시게루 반 건축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s of the Architecture of the Social Participation Reflected Up-cycling Design - Focused on Shigeru Ban's Architectural Cases


2018-1


원민희
하라켄야 ‘백(白)’개념을 중심으로 본 스페이스브랜딩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pace Branding Based on the Concept of ' White ' in Harrakenya


장수민
뵈메의 감성학을 통한 전시 공간의 지각적 분위기 체험 연구
A Spatial Study about Emotional Atmospheric Experience of Gernot Bohme's Aesthetics


2017-2


오혜린
유희적 인간(Homo Ludens)의 관점에서 본 퍼놀로지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unology Space from the Viewpoint of Homo Ludens - Focusing on the Cases of Luxury Fashion Flagship Store


2017-1


양은지(박사논문)
Passive+ ENERGY House의 고도화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dvancement Characteristics of Passive+ ENERGY House


2016-2


김가영
감성적 키치공간의 특성 연구 - 마르셀 반더스, 하이메 아욘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nsitivity Kitsch Space - Focusing on Marcel Wanders' and Jaime Hayon's Works


2015-2


윤득근
전통 사찰 공간의 선(禪)조형 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on Formative Ideas of Traditional Temple Space


서민경
복합상업공간에 나타나는 은유적 특성 연구
A study on metaphorical characteristics on commercial complex space


김종성
스토리텔링 관점으로 바라본 BIG(Bjarke Ingels Group) 건축의 형태생성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Form Generation for BIG(Bjarke Ingels Group) of Construction Focused on Storytelling


2015-1


최수민
아트 파빌리온에 나타나는 비일상적 시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Non-daily Space-tim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Art Pavilion’


2014-2


김은수
프로젝션 파사드(Projection Facade)의 공간 인터페이스 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jection Facade as an Interface for Space


2014-1


정영호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 사상으로 본 공간조형개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pace formative concepts seen through perspective of Toigye and Yulgok's Neo Confucianism


2013-2


임상현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플래시 몹의 공간적 구현에 관한 연구 : 공적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Spatial Implementation of Flash Mob based on Placeness


2013-1


박현선
크세나키스 추계학이론의 조형적 특성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 작품연구


2012-2


김지은(박사논문)
莊子와 들뢰즈의 時空間 思想에 의한 自由空間 硏究
A Study on the Free Space by the Concept of Space-Time in Zhuang zi & Gilles Deleuze


2012-1


우예슬
SPA브랜드에 나타난 체험 마케팅 공간 표현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Expression of Experiential Marketing Shown in SPA


2011-2


최혜진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에 의한 아파트 공간의 차별화 전략 연구
A Study on Differentiation Strategy of Apartment Space According to Brand Identity Factors


곽성민
커피전문점의 유형과 공간디자인 마케팅 표현요소 연구 : 홍대 커피 전문점을 중심으로
Reserch on Coffee House and the Expressive Elements in Their Space Design : With a Focus on Coffee Houses in Hongik Univ


최지혜
생태적 사고에 의한 생체모방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Features of Biomimicry Space Viewed in the Ecological


2010-2


조정화
노마드적 관점의 전통정자 잠재성 분석 연구
A Study on Potential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pavilion from the Perspective of Nomad


2010-1


양은지
생태미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전통 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가사상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viewed in the Eco-esthetics Perspective - Focused on Taoism


2009-2


정은하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감성 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 인지 과정의 체험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otional Space Expression applying Digital Media - Centered on the Experience of a Cognitive Process


2007-2


이준호
전통 건축공간과 디지털 건축공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비물질적 특성에 관하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raditional and digital architecture space - focused on the dematerialized characteristics


#thesis




COPYRIGHT © 2021 KOOKMI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